본문 바로가기
세상 모든 지식

NCM 계열 High-Nickel Precursor의 정의 및 화재 안전성 강화 방안

by SHDR 2025. 3. 3.

1. High-Nickel Precursor란?

1) 정의 및 개요

High-Nickel Precursor(고니켈 전구체)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양극재를 제조하는 데 필수적인 원료로, 주로 니켈(Ni), 코발트(Co), 망간(Mn)으로 구성된 NCM(Nickel-Cobalt-Manganese) 계열의 전구체를 의미합니다. 니켈 함량이 높은 High-Nickel Precursor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장치(ESS) 등에 사용됩니다.

2) 특징

  • 고에너지 밀도: 니켈 함량이 증가할수록 배터리 용량과 출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.
  • 코발트 함량 감소: 니켈 비율을 높이고 코발트 함량을 줄여 비용 절감과 공급망 리스크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.
  • 전도성 및 안정성: 망간과 코발트가 첨가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합니다.

NCM-계열-High-Nickel-Precursor-정의-및-화재-안전성-강화-방안

2. High-Nickel Precursor의 장단점

1) 장점

  • 높은 에너지 밀도: 전기차 배터리의 주행거리를 증가시키는 핵심 요인
  • 비용 절감: 코발트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원자재 비용 절감 가능
  • 고출력 특성: 높은 전도성을 통해 빠른 충·방전이 가능

2) 단점

  • 화재 및 열 폭주 위험: 니켈 함량이 높아질수록 열 안정성이 낮아짐
  • 제조 난이도: 균일한 입자 형성 및 불순물 제거 공정이 복잡함
  • 내구성 문제: 충·방전 사이클 증가 시 구조적 붕괴 가능성 존재

3. High-Nickel Precursor 시장 동향

1) 전 세계 배터리 시장에서의 성장

  • 전기차(EV) 및 에너지 저장장치(ESS) 산업의 성장으로 High-Nickel Precursor 수요 증가
  • 글로벌 주요 기업: LG에너지솔루션, SK온, 삼성SDI, CATL, Panasonic, Tesla 등
  • 주요 전구체 제조업체: POSCO Future M, EcoPro BM, GEM, CNGR, Umicore

2) 기술 개발 및 혁신

  • 니켈 함량 90% 이상 고니켈 양극재 개발 진행 중
  • 전해질 및 배터리 팩 수준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연구 지속

3) 친환경 및 규제 대응

  •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재활용 및 친환경 생산 공정 도입
  • 각국의 배터리 재활용 의무화 정책 강화

4. High-Nickel Precursor 생산 시 화재 안전성을 높이는 방법

1) High-Nickel Precursor의 화재 위험성

  • 고온 반응 특성: 특정 온도 이상에서 발화 위험 존재
  • 분진 폭발 위험: 미세한 금속 분말이 공기 중에 부유하며 폭발 가능
  • 화학 반응성: 특정 조건에서 강한 산화 반응 유발 가능
  • 리튬과의 반응: 화학적 불안정성 증가 가능성

2) 화재 예방을 위한 설비 및 관리 방안

(1) 방폭 및 내화 설비 구축

  • 방폭 설비(EX 장비) 및 정전기 방지 시스템 도입
  • 생산 구역 내 전기 스파크 방지 설비 설치
  • 공정 라인과 보관 시설에 내화벽 및 방화문 설치

(2) 분진 제거 시스템 도입

  • 분진 집진기(HEPA 필터) 및 환기 시스템 설치
  • 분진 농도 실시간 모니터링

(3)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구축

  • 열 감지 센서 및 가스 감지기 설치
  • 자동 온도 조절 및 긴급 냉각 시스템 적용
  • 질소(N₂) 또는 이산화탄소(CO₂) 소화 시스템 구축

3) 작업자 교육 및 비상 대응 체계 구축

(1) 정기적인 화재 예방 교육 실시

  • 화재 발생 시 대응 절차 및 대피 훈련
  • 개인 보호장비(PPE) 착용 및 올바른 사용법 교육

(2) 자체 소방대 구성 및 운영

  • 공장 내 자체 소방대 조직 및 주기적 훈련
  • 초기 화재 진압 및 대피 지원을 위한 역할 분담
  • 화재 발생 시 즉각적인 보고 및 대피 절차 정립

4) 법적 기준 및 안전 인증 확보

(1) 국내외 안전 규정 준수

  • 산업안전보건법: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의 안전 관리 규정 준수
  • 소방시설법: 방폭 지역의 소방시설 및 방화구역 설계 기준 준수
  • PSM(Process Safety Management) 적용: 공정 안전 관리 시스템 구축

(2) 국제 안전 인증 확보

  • ISO 45001(산업안전보건경영시스템) 인증
  • NFPA(미국 화재예방협회) 기준 적용
  • IECEx(국제 방폭 인증) 확보

5. 결론

High-Nickel Precursor는 전기차 및 ESS 시장에서 필수적인 소재로,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열 안전성 및 내구성 관리가 중요한 요소입니다. 방폭 설비 구축, 분진 관리, 자동 화재 감지 시스템 도입, 작업자 교육 및 자체 소방대 운영 등을 통해 화재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법적 기준을 준수하고 국제 안전 인증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생산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.

 

안전한 공정을 구축하는 것이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첫걸음입니다!